1. 안전보건관리조직의 유형을 이해할 수 있다. 2. 안전책임과 직무 및 안전보건관리 규정을 알고 적용할 수 있다.
2. 안전관리계획 수립하기
1.공사에 필요한 안전관리 계획을 수립하기 위하여 건설안전 관련법령에서 정하는 사항을 확인할 수 있다. 2. 공종별 안전 시공계획, 안전 시공절차, 주의사항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제시할 수 있다. 3. 안전점검계획은 재해예방지도기관, 안전진단기관과 계약을 체결하여 공사기간 중 안전점검이 이루어지도록 계획할 수 있다. 4. 각종 관련서식, 안전점검표를 건설안전 관련법령을 참조하여 작성하고, 현장의 특수성을 검토하여 계획 확인 단계까지 보완할 수 있다. 5. 건설안전 관련법령외의 안전관리사항을 안전관리계획서에 반영할 수 있다. 6. 안전관리계획 수립에 있어서 중대사고 예방에 관한 사항을 우선으로 고려하여 계획에 반영할 수 있다.
3. 산업재해발생 및 재해 조사 분석하기
1. 재해발생모델을 알고 이해할 수 있다. 2. 사고예방원리를 이해할 수 있어야 한다. 3. 재해조사를 실시할 수 있다. 4. 재해발생의 구조를 이해할 수 있다. 5. 재해분석을 실시할 수 있다. 6. 재해율을 분석할 수 있다.
실기과목명
주요항목
세 부 항 목
세 세 항 목
4. 재해 예방대책 수립하기
1 사고장소에 대한 증거물과 관련자와의 면담 등을 통하여 사고와 관련된 기인물과 가해물을 규명할 수 있다. 2. 사고조사를 통해 근본적인 사고원인을 규명하여 개선대책을 제시할 수 있다.
5. 개인보호구 선정하기
1. 산업안전보건법령에 의해 안전인증 받은 보호구를 선정하고, 성능 시험의 적합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2. 개인보호구를 근로자가 적정하게 착용하고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6. 안전 시설물 설치하기
1. 건설공사의 기획, 설계, 구매, 시공, 유지관리 등 모든 단계에서 건설안전 관련자료를 수집하고, 세부공정에 맞게 위험요인에 따른 안전 시설물 설치계획을 수립할 수 있다. 2. 산업안전보건법령에 기준하여 안전인증을 취득한 자재를 사용할 수 있다.
7. 안전보건교육 계획하기
1. 안전교육에 관련한 법령을 검토할 수 있다. 2. 교육종류에 따른 교육 대상자를 선정할 수 있다.
8. 안전보건교육 실시하기
1. 안전보건교육의 연간 일정계획에 따라 교육을 실시할 수 있다. 2. 작업 상황사진, 동영상을 참고하여 불안전한 행동, 상태를 예방하기 위한 안전기술과 시공을 교육프로그램에 반영할 수 있다. 3. 건설안전 관련법령에 따라 교육일지를 작성하고 피교육자의 서명과 사진을 부착하여 교육 실시 여부를 기록할 수 있다. 4. 법적자료를 고려하여 교육대상자, 적정 시간과 횟수를 제대로 준수하고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5. 작업공종을 기준으로 해당 안전담당자를 지정하고, 교육대상자가 의식과 행동의 변화를 가져올 때까지 교육을 실시할 수 있다.
2. 건설공사 안전
1. 건설공사 특수성 분석하기
1. 설계도서에서 요구하는 특수성을 확인하여 안전관리계획 시 반영할 수 있다. 2. 공정관리계획 수립 시 해당 공사의 특수성에 따라 세부적인 안전지침을 검토할 수 있다. 3. 공사장 주변 작업환경이나 공법에 따라 안전관리에 적용해야 하는 특수성을 도출할 수 있다. 4. 공사의 계약조건, 발주처 요청 등에 따라 안전관리상의 특수성을 도출할 수 있다.
실기과목명
주요항목
세 부 항 목
세 세 항 목
2. 가설공사 안전을 이해하기
1. 가설공사 안전에 관한 일반을 이해할 수 있다. 2. 통로의 안전에 관한 사항을 이해할 수 있다. 3. 비계공사의 안전에 관한 사항을 이해할 수 있다.
3. 토공사 안전을 이해하기
1. 사전점검 사항을 알고 적용할 수 있다. 2. 굴착작업의 안전조치 사항을 적용할 수 있다. 3. 붕괴재해 예방대책을 수립할 수 있다.
4. 구조물공사 안전을 이해하기
1. 철근공사의 안전에 관한 사항을 이해할 수 있어야 한다. 2. 거푸집공사의 안전에 관한 사항을 이해할 수 있어야 한다. 3. 콘크리트공사의 안전에 관한 사항을 이해할 수 있어야 한다. 4. 철골공사의 안전에 관한 사항을 이해할 수 있어야 한다.
5. 마감공사 안전을 이해하기
1. 마감공사의 안전에 관한 사항을 이해할 수 있어야 한다.
6. 건설기계, 기구 안전을 이해하기
1. 차량계 건설기계에 관한 안전을 이해할 수 있어야 한다. 2. 토공기계에 관한 안전을 이해할 수 있어야 한다. 3. 차량계 하역운반기계에 관한 안전을 이해할 수 있어야 한다. 4. 양중기에 관한 안전을 이해할 수 있어야 한다.
7. 사고형태별 안전을 이해하기
1. 떨어짐(추락)재해에 관한 안전을 이해할 수 있을 이해할 수 있어야 한다. 2. 낙하물 재해에 관한 안전을 이해할 수 있다. 3. 토사 및 토석 붕괴 재해에 관한 안전을 이해할 수 있다. 4. 감전재해에 관한 안전을 이해할 수 있다. 5. 건설 기타 재해에 관한 안전을 이해할 수 있다. 6. 사고조사 후 도출된 각각의 사고원인들에 대하여 사고 가능성 및 예상 피해를 감소시키기 위해 필요한 사항들을 검토할 수 있다. 7. 사고조사를 통해 근본적인 사고원인을 규명하여 개선대책을 제시할 수 있다.
3. 안전기준
1. 건설안전 관련법규 적용하기
1. 산업안전보건법을 적용할 수 있다. 2. 산업안전보건법 시행령을 적용할 수 있다. 3. 산업안전보건법 시행규칙을 적용할 수 있다.
실기과목명
주요항목
세 부 항 목
세 세 항 목
2. 안전기준에 관한 규칙 및 기술지침 적용하기
1. 작업장의 안전기준을 적용할 수 있다. 2. 기계기구 설비에 의한 위험예방에 관한 안전기준 및 기술지침을 적용할 수 있다. 3. 양중기에 관한 안전기준 및 기술지침을 적용할 수 있다. 4. 차량계 하역운반 기계에 관한 안전기준 및 기술 지침을 적용할 수 있다. 5. 콘베이어에 관한 안전기준 및 기술지침을 적용할 수 있다. 6. 차량계 건설기계 등에 관한 안전기준 및 기술지침을 적용할 수 있다. 7. 전기로 인한 위험 방지에 관한 안전기준 및 기술 지침을 적용할 수 있다. 8. 건설작업에 의한 위험예방에 관한 안전기준 및 기술 지침을 적용할 수 있다. 9. 중량물 취급시 위험방지에 관한 안전기준 및 기술 지침을 적용할 수 있다. 10. 하역작업 등에 의한 위험방지에 관한 안전기준 및 기술 지침을 적용할 수 있다. 11. 기타 기술 지침을 적용할 수 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13.1 창호는 용도에 따라 채광, 환기, 출입에 쓰이기도 하고 방풍, 방한, 방수, 방범,
방연등의 역 할을 하기도 하며, 그 사용재료 또한 다양해졌다. 일반적으로 목재, 알루미늄,철재,프라스틱 재료로 대별되며 창호도에 표현된
내용만을창호공사에 포함되어 수량을 산출하도록 한다.
13.2 수량산출은 창호도를 기준하며 창호갯수는 평면도에 표시된 창호수량을 확인한다.
13.3 금물 표기법-재료약어표
a
aluminium
ss
stainless
s
steel
w
wood
p
plastic
b
brass
g
glass
13.4 유리약어표
투 명유리
clear glass
C
무 늬 유리
figured glass
F
우 유 빛 유리
obscured glass
O
열선반사유리
reflective glass
R
열선흡수유리
solar absorbed glass
Sa
강 화유리
tempered glass
T
망 입유리
wired glass
W
접 합유리
laminated glass
L
열 절 약 유리
low-emissivity glass
E
스팬드럴유리
spandrel glass
S
곡 면 유리
round glass
Ro
장 식 유리
stained glass
St
색 유리
color glass
N.B.L
13.5 1) 프레임의 칫수 및 수량은 평면도상의 수량을 우선으로 한다. 2) 프레임의 크기(W*H)는 외곽칫수이므로 제작설치는 현장칫수를 확인한 후
시행할 것. 3) 외부에 직접 노출된 프레임 및 유리주위는 코팅처리 한다. 4) 모든 금물은 해당칭호의 무게, 형태, 용도에 적합해야 한다. 5) 셔터에 재질에 관계없이 가이드레일은 스테인리스 스틸로 한다. 6) 모든 철재류는 1차방청도장 후 마감을 원칙으로 한다.(단, 앙카철물은 제외)
13.6 창호철물 1) 스틸도어는 피봇힌지나 도어체크를 산출해준다. 2) 스텐레스스틸도어는 플로어힌지를 산출해줌. 3) 상기기준은 도면에 표기가 없을 때사용하는 것이며 도면에 표기가 되어있을 때는 도면표기되로 따라간다.
13.7 유리주위코킹과 창호주위코킹은 문또는 창호에 따라서 적절히 산출해줌.
13.8 스틸도어는 도장배수에 따라 도장면적표에 따라 산출해줌. *도장 면적 배수표는 품셈을 기준으로 한다.
유리공사
14.1 유리공사는 각종창호에 부착하는 일반유리,무늬유리,복층유리,등을 끼우기 및 유리닦기 등으로 구분하며, 유리규격은 도면(지역별 외부창호 유리두께 적용 현황등) 및 특기시방서 에 의거 산출한다.
11.1 수장공사는 건물내외부에 마감재료 사용하여 바닥, 벽, 천장을 아름답게 꾸미는 공정으로 종류도 다양하고, 재질, 두께, 시공방법도 여러 가지로 시방서 내용을 숙지하고 공사의 한계와 부속재료 및 품의 적용을 파악한 후 수량을 산출한다. 11.2 바닥재 11.2.1 아스타일, 비닐타일, 내산타일, 전도성타일, 러버타일, 비닐타일시트, 기타 시트, 롤카펫, 카펫타일 등은 재질별, 두께별로 구분하여 실면적을 산출한다. 단, 왁스칠 면적은 별도 산출한다. 11.2.2 계단용 러버타일 중 논슬립이 있는 것은 규격별 길이로 산출한다. 11.2.3 걸레받이는 높이별로 구분하여 길이를 산출한다. 11.2.4 이중마루판(access floor) 재질별(스틸패널, 알루미늄패널, 목재마루패널 ) 규격별로 구분하여 면적을 산출한다. *마감재는 별도(비닐 무석면타일, 전도성 비닐 타일- 전문업체 견적내용확인) 11.2.5 폴리우레탄은 두께별, 사용용도에 따라 실면적을 산출한다. 11.2.6 기타바닥마감재 - 특수 용도의 바닥재는 시방서를 기준한 실면적을 산출한다.
11.3 벽재료 11.3.1 벽 마감재료는 용도에 따라 다양하게 표면마감재면적을 기준하여 바탕내용을 상세히 구분하여 산출 11.3.2 바탕틀 속의 단열재 등은 재질별, 두께별로 구분하여 산출한다. 11.3.3 나무벽돌(벽돌별), 앙카철물(콘크리트면)은 소요개소로 산출하거나 시공품에 부자재로 면적 비례 적용하기도 한다. 11.3.4 설계도면에 바탕틀이 없는 마감판재 취부일 때는 경제적인 바탕틀 내용을 적용한다. 11.3.5 할증적용(%)
텍스
5
석고판(붙임용)
5
석고판(본드접착)
8
코르크판
5
단열재
10
목재(각재)
5
목재(판재)
10
합판(일반용)
3
합판(수장용)
5
11.4 천장재료
11.4.1 표면마감 재료별, 두께별, 크기별로 구분하여 경량철골천장틀 (M-BAR, T-BAR, H-BAR, STYSTEM) 별로 구분한 실면적을 산출한다. 11.4.2 석고보드 천장면 바탕에 암면텍스 등 2종 접착 시공일 때는 암면텍스의 재료와 품을 별도 구분 적용 한다. 11.4.3 연속되는 전드BOX, 환기구의 면적 등은 표면 마감재료의 면적은 공제하나 천장틀 설치 면적은 공제하지 않는다. 11.4.4 커튼 BOX, 몰딩은 규격별 길이로 산출한다. 11.4.5 건축에 표시된 조명 BOX, 등은 규격별로 산출한다. 11.4.6 루버는 재질별, 규격별, 형태별로 구분하여 실면적을 산출한다.
11.5 종이바름 11.5.1 종이재질별, 실면적을 산출한다. 11.5.2 재배지 바름횟수를 더할 때는 (2회 이상)별도로 구분한다.
11.6 단열재 11.6.1 대별하여, 폴리스틸렌(아이소핑크, 하이폴, 골드폼 ) 암면재, 유리섬유재(판재류) 시공부위에 따라 실면적을 산출한다. 11.6.2 분사에 의해 팽창되는 단열재는 체적으로 산출한다. (뿜칠 수량 산출은 충진하고자하는 내부공간폭에 소요면적을 곱하여 체적을 산출 우레아폼) 11.6.3 팬코일 BOX 뒷면, 내벽면(DRY WALL) 등의 단열재 취부는 바탕틀이 있는 면적과 시공을 위한 바탕틀이 있는 면적과 시공을 위한 바탕틀을 요구하는 면적으로 구분한다. 11.6.4 방습필름 은 부위별(바닥벽), 두께별로 구분한 면적을 산출한다.
반응형
11.7 경량칸막이 및 건식벽 ( DRY WALL )
칸막이 구분
표면마감재
석고보드(일반,방수,방화)
나무라이트
밤라이트
철판(도장마감)
용도별
일반칸막이
이동식칸막이
방화구획 칸막이
외부면 건식벽 마감
방음 칸막이
크린룸 칸막이
화장실칸막이
형태별
전체민판
고창(유리창)
출입문
11.8 경량칸막이는 설계도면에 표시된 내용별 구분한 실면적을 산출한다. 천장속 방화구획 칸막이의 표면마감(도장)이 없는 면적은 별도 구분 산출한다. 천장속 보강틀(지지틀) 은 노출면적 단가견젹에 포함한다. 출입문은 규격별 개소로 산출하며(틀+문짝), 창호금물(손잡이, 도어체크)은 별도 산출한다. 경량칸막이 코킹, 고창유리(5MM)는 전문업체 견적내용에 포함시킨다. 전문업체 견적내용 중 칸막이 표면 마감재 포함여부를 확인한다. 데크플레이트면과 경량칸막이(방화용)가 면하는 골의 암면 채우기는 설계도면을 기준 유리 후면 커버는 단열재를 포함한 면적을 산출한다.